본문 바로가기
다큐 纪录片 Documentary

1926년 일제강점기 순종 장례 행렬의 모습, 不二貿易株式會社(1926)

by 여우ㅤㅤ 2023. 11. 13.

1926년 6월 10일 순종 장례식 다큐멘터리입니다. 영상 원본은 1926년 不二貿易株式會社 불이무역주식회사의 純宗皇帝 因山習儀 순종황제 인산습의(장례식 예행연습) 영상입니다. 1958년 대한민국 공보실 선전국 영화과의 각색본이 1997년 한국영상자료원을 통해 공개되었으나, 아래 자료들을 참고해 리마스터하였습니다.

순종은 1392년에 건국된 조선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입니다. 순종은 1874년 2월 창덕궁의 관물헌에서 고종과 명성황후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재위기간은 1907년부터 1910년까지 약 3년 입니다. 1907년 고종이 일본의 강요로 퇴위하면서 내키지 않는 황제의 자리에 올랐습니다. 1910년 경술국치로 일본에 의해 국권을 빼앗긴 후 황제의 자리에서 물러나 李王 이왕으로 격하되어 창덕궁에 머물며 연금과 다름없는 삶을 살아갑니다. 그리고 1926년 4월 25일, 53세의 일기로 승하하였습니다. 다음과 같은 유언이 전해집니다.

‘지난날의 병합 인준은 일본이 제멋대로 만들어 선포한 것이다. 나는 종사의 죄인이 되고 이천만 생민의 죄인이 되었으니, 한 목숨이 꺼지지 않는 한 잠시도 이를 잊을 수 없다. 노력하고 광복하라. 광복하라.’ (순종 융희황제 유조 中. 1926년 7월 8일자 신한민보 기사)

1926년 6 월 10일 국장이 치러지는 날, 과거 고종 인산일에 일어났던 3.1 운동처럼, 6.10 만세 시위가 일어납니다.

이 영상은 외국사절의 조문 모습으로 시작하여, 순종의 영구를 실은 행렬이 창덕궁 돈화문을 출발하여, 남양주시 금곡릉(現 홍유릉)으로 이동하는 장면을 담고 있습니다.

당시 긴 장례 행렬은 주로 종로와 돈화문로가 교차하는 지점(단성사 사거리)에서 촬영되었습니다. 이 종로 3가의 사거리는 '이 해 박는 집'(치과, 순종 즉위년인 융희1년, 1907년 최승룡이 개업)과 '동양루'(선술집, 現 피카디리 극장)라는 2층 건물의 간판이 보이는 지점입니다(04:55). 이후 행렬은 관수교를 통해 청계천을 건너 을지로를 통해 훈련원(現 훈련원공원)을 지나, 흥인문(現 동대문)을 통과해 동묘로 나아갔습니다. 이후 살곶이 다리를 너머 용마산 기슭(現 어린이 대공원)에 있던 순명황후 묘를 이장하며 남양주의 유릉에 당도하게 됩니다.

일본의 지배는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항복하면서 끝이 났습니다. 이후 미국과 소련의 군대 가 한반도를 남북으로 분할 점령하고 북부 소련 민정 과 한국의 남부 미군 군사 정부, 두 개의 다른 정부와 경제 체제로 분리했습니다. 이 체재는 각각 현대 독립 국가인 북한과 남한에 의해 계승되었습니다. 일본은 1952년 4월 28일, 샌프란시스코 조약으로 공식적으로 한국을 포기합니다. 이후,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韓日基本條約)으로 1910년 8월 22일 및 그 이전에 체결된 모든 조약 및 협정을 이미 무효로 확인합니다. 순종의 유언이 확인되는데 40년의 시간이 걸린 샘입니다.

 

 

*참고

  1. 朝鮮博文社 조선박문사(경성신문사 내). 純宗國葬錄 순종국장록. 서울역사아카이브  https://museum.seoul.go.kr/archive/archiveNew/NR_archiveList.do?ctgryId=CTGRY881&type=D (1926),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서울역사박물관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2. 京城寫眞通信社 경성사진통신사. 純宗國葬記念寫眞帖 순종국장기념사진첩. 국립고궁박물관 https://www.gogung.go.kr/gogung/pgm/psgudMng/view.do?menuNo=800065&psgudSn=366131 (1926),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국립고궁박물관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3. 御葬儀寫眞帖 어장의사진첩
  4. 순종황제 장례식. 국가기록원(http://www.archives.go.kr),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에 따라 국가기록원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5. 신재의. 일제 강점기의 치의학(齒醫學)과 그 제도의 운영. Dentistry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13, 252–284 (2004).
  6. 장규식 연세대 국학연구원 연구교수. 장규식의 서울역사산책. '뚝배기’로 상징되는 서민 전통의 문화공간. 프레시안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8273 (2003).
  7. 이지원. 이 해 박는집. 성균웹진 https://webzine.skku.edu/skkuzine/section/knowledge01.do?mode=list&articleNo=34125 (2016).
  8. 김명환. [모던 광고 파노라마] [15] 90년 전 치과 이름은 ‘치술원’ ‘이 해 박는 집’.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4/10/2013041002842.html (2013).
  9. VOM 매거진. [역사로 보는 의학] 이 해 박는집. 서울대학교병원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chsnuh/220331512916 (2023).
  10. 현대사스토리텔러. 유릉(裕陵)에 오르는 순종의 대여(大轝), 1926년. 사진한장으로 보는 대한민국 현대사 https://blog.naver.com/telience92/221617040646 (2019).

 

 

 

 

 

 

반응형

댓글